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8)
[Git] branch 정보 확인 branch 정보 확인 정리 $ git log 현재 브랜치에 대한 로그 커밋만 출력 $ git log --branches 모든 브랜치의 로그 출력 $ git log --branches --decorate 모든 브랜치의 브랜치명 표시 $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로그 왼쪽에 그래프가 출력됨 $ git log --branches --decorate --graph --online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표시됨 $ git log 브랜치명1..브랜치명2 커밋 로그 단위로 브랜치명1에는 없고 브랜치명2에는 있는 것 보여줌 $ git log -p 브랜치명1..브랜치명2 커밋 로그 단위로 무엇이 바뀌었는지 보여줌 $ git diff 브랜치명1..브랜치명2 브랜치1과 브랜치2의..
[Git] 작업을 분기 (branch, checkout) 작업을 분기하자 ! branch, checkout (그림 출처 : 생활코딩 Git 강의 영상) 위 그림은 엑셀파일을 다른사람과 분리하여 작업 후 합치는 것을 나타냈다.이 처럼 어떤 작업을 할 때 분리시켜서 작업해야할 경우가 생긴다.예를들어, 테스트 해볼 작업만 따로 진행하고 싶을 때, 나중에 삭제할지도 모르는 작업을 진행하려고 할 때 등 여러 경우가 있다.나누는 방법은 '가지'를 친다는 의미로 branch 명령어를 사용해서 작업을 나눌 수 있다. branch 명령어 브랜치의 목록을 볼 때$ git branch 새 브랜치를 만들 때$ git branch 브랜치명 다른 브랜치로 변경할 때$ git checkout 브랜치명 브랜치를 삭제할 때$ git branch -d 브랜치명 병합하지 않은 브랜치를 강제 삭..
[Git] 메뉴얼 보는법, commit의 옵션, git의 3가지 공간 메뉴얼 보는법 git의 다양한 사용법을 알고 싶을 때 command창에서 git의 메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 git --help git --help 명령어를 치면 명령어나 옵션에 대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어...라니ㅠ) commit 관련 옵션 commit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옵션을 몇 가지 설명하겠습니다. $ git commit -m "메세지"$ git commit -a$ git commit -am "메세지" -m : vim에서 별도의 메세지를 작성할 필요없이 인라인 형식으로 바로 커밋 메세지 작성.-a : 별도의 add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수정된 파일에 대해 add, commit을 한번에 수행함. (단, 한번도 add되지 않은 파일은 add를 따로 작업 해줘야함.)-am : a,..
[Git] 과거 버전으로 되돌리기 (reset, revert) 과거 버전으로 되돌리기 commit을 했는데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고 싶을 경우 reset이나 revert를 사용합니다.사실 이 방법들을 사용한다고해서 완전히 지워지지도 않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죠.왠만하면 되돌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그래도 피치못할 경우 사용해야할 때가 있겠지요.두 방법은 비슷하면서 다릅니다. 먼저 reset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reset reset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가서 시작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커밋 이력이 최신 순으로 5 -> 4 -> 3 -> 2 -> 1 라고 봅시다.현재는 5이고 3일 때로 돌아가고 싶을 때 reset을 써서 그때로 되돌아갑니다. $ git reset [3일때의 버전 id] --hard reset 과 돌아가고싶을 때의 버..
[Git] 변경사항 확인하기 (log, diff) 변경사항 확인하기 log를 출력해서 변경사항을 추적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page1.txt] one -> 커밋[page2.txt] two -> 커밋 일단, 페이지 하나씩 만들고 각각 커밋했습니다. 위 캡쳐는 page2를 commit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page1의 내용을 one2, page2의 내용을 two2로 수정하고page1만 add, commit 해봅시다 ! page1만 commit했기 때문에 status 로 상태를 확인했을 때 page2가 수정되었는데 커밋되지 않았다고 뜹니다. $ git log 이제 로그를 출력해 봅시다.최근 commit 순으로 로그가 출력됩니다. $ git log -p log -p 로 입력하게 되면 더 자세한 변경 정보가 출력됩니다.page1.txt의 내용이 one 이었는..
[Git] 저장소 만들기(init), 관리할 파일 등록(add), 버전 만들기(commit) 저장소 만들기 (init)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첫번째 관문은 소스를 관리할 공간인 저장소를 만드는 일입니다. $ git init 원하는 디렉토리 위치에서 init 명령어를 통해 저장공간을 만듭니다. 숨김파일로 되어있는 .git 저장소 폴더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리할 파일 등록 (add) 이제 내가 관리하고 싶은 파일을 등록해야 합니다.그 전에, 가상의 파일을 생성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는 vim을 통해 page1 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내용은 one 이라고 적었습니다.(꼭 vim으로 안해도되니까 편한대로 파일을 하나 만들어주세요.) 관리할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파일을 등록해 봅시다. $ git add page1.txt --git add . 일 경우 모든 파일..
[Linux] 명령어 정리 Linux 명령어 정리 $ cd 경로 경로 위치로 이동 $ cd .. 상위 폴더로 이동 $ cat v1.txt v1.txt 파일을 커맨드 창에서 확인 $ cp v1.txt v2.txt v1.txt을 v2.txt이름으로 복제 $ ls / $ ls -a / $ ls -l 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출력 / 숨김 파일 포함 출력 / 자세히 출력 $ vim v1.txt 해당 이름의 파일 생성, i -> 편집모드, esc -> 편집모드 나가기, :wq -> 커맨드창으로 돌아가기 $ mkdir 디렉토리명 디렉토리(폴더) 생성
[TIL] 19.01.22 오늘 한 일 1. IBK 시스템 코딩테스트와 1차 면접을 보고왔다.오늘 느낀 점 1. 개발자로서의 방향을 잘 잡고 다시 파야겠다. 2. 알고리즘, 코딩 공부 3. 깃, 블로그에 차곡차곡 기록하자. 4. 면접 준비를 탄탄하게 하자. 예상질문 쫙! 암기 쫙! 내가 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부분 정리해보기.내일 할 일 - 깃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