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Git] 저장소 만들기(init), 관리할 파일 등록(add), 버전 만들기(commit)

728x90
반응형

저장소 만들기 (init)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첫번째 관문은 소스를 관리할 공간인 저장소를 만드는 일입니다.


$ git init


원하는 디렉토리 위치에서 init 명령어를 통해 저장공간을 만듭니다.




숨김파일로 되어있는 .git 저장소 폴더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리할 파일 등록 (add)


이제 내가 관리하고 싶은 파일을 등록해야 합니다.

그 전에, 가상의 파일을 생성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저는 vim을 통해 page1 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내용은 one 이라고 적었습니다.

(꼭 vim으로 안해도되니까 편한대로 파일을 하나 만들어주세요.)



관리할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파일을 등록해 봅시다.


$ git add page1.txt         --git add . 일 경우 모든 파일 등록

$ git status



git은 새로운 파일이 생기거나 기존 파일이 수정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관리하지 않습니다.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add 명령어를 통해 관리의 대상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git add page1.txt 를 입력하면 page1.txt가 관리할 대상으로 등록됩니다.

git status를 입력하면 현재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아직 커밋되지 않은 상태' 라고 뜹니다. 

add만 한 상태에서는 아직 관리가 가능한 시점은 아닙니다.



버전 만들기 (commit)


개인마다 지정한 작업 단위가 완료 되었을 때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게 됩니다.

버전을 만들어보기 전에, 그 버전을 만드는 유저의 정보에 대한 초기값을 지정해 봅시다.

이 설정은 .gitconfig 파일에 저장됩니다. 처음에 한번만 해두면 됩니다.


정보를 지정하고 git commit을 입력해봅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닉네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 git commit



git commit까지 하면 vim이 실행 될 것입니다.

주석으로 된 문장을 통해 page1.txt라는 새로운 파일이 커밋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커밋을 한 정보에 대해 간단히 메세지를 남겨주어야 합니다.

i 를 눌러서 편집모드로 들어갑니다. 메세지 작성(first commit)해주고 esc 후 :wq 를 작성해서 vim을 빠져나와줍니다.



커밋 후 git status 로 상태를 확인해보면 working tree가 깨끗하다고 나옵니다.

add만 했을 때는 아직 등록만 해둔 상태이니 커밋 해야한다고 나왔었지요. 이제는 버전 관리가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여태까지 했던 과정을 다시 정리해보자면

저장소를 만들고 -> 관리할 파일을 등록하고 -> 초기 정보를 설정하고 -> 버전을 만들었습니다.



add를 해야하는 이유

바로 commit하면 되는데 왜 구지 add를 통해 등록을 해야할까요?

commit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정된 파일이 여러개 있을 때 선택적으로 골라서 커밋 대기 공간에 두고, 그 그 공간의 파일들만 commit 시켜 버리면 원하는 파일들만 관리할 수 있습니다.

add는 commit 전에 올리고싶은 파일을 골라서 담아두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참고 : 생활코딩 - 지옥에서 온 Gi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