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

(2)
[토비의 스프링3] 8-3. POJO 프로그래밍 '토비의 스프링3' 개발 서적을 읽으며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8.3 POJO 프로그래밍 스프링의 가장 강력한 특징과 목표를 기술적으로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다. 분리됐지만 반드시 필요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기술을 POJO 방식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핵심 로직을 담은 코드에 제공한다. 해석 (1) : 핵심 로직은 아니지만 반드시 필요한 뒷단의 기술을 (2) : POJO 방식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핵심 로직에 포함시킨다. 핵심 로직과 뒷단의 기술을 분리하였는데 (2)에 포함시켜 제공하고자 하는게 스프링이 기술적으로 지향하는 목적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POJO가 대체 뭘까? POJO에 대해서 알아보자. POJO란 무엇일까? POJO 정의 간단한 자바 오브젝트. 객체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
[토비의 스프링3] 8.1~2 스프링의 정의, 목적 '토비의 스프링3' 개발 서적을 읽으며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8.1 스프링의 정의 스프링을 한 줄로 정의를 내린다면 아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풀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엔터프라이즈 전 계층과 전 영역에 전략과 기능을 제공해줌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개발하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사용된다. (단지 JDBC/ORM 지원 or IoC/DI 프레임워크 or AOP툴이라고만 본다면 일부만 본 것이다.) 경량급 개발환경과 서버가 불필요하게 복잡하거나 무겁지 않다. 비교 : EJB기술은 느리고 무거운 자바(WAS)서버가 필요했다. 제대로 된 개발환경(패키징,서버 배치) 갖추지 않고는 개발이 어려웠다. 만들어진 코드..